MilkTea's DevLog☕
Preview Image

Spring - 스프링 컨테이너 코드로 파악하기 1) 빈 스캔

상당 부분이 직접 코드를 분석하여 정리한 내용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! 잘못된 부분은 알려주시면 바로 수정하겠습니다.🙇‍♂️ 1. 객체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객체의 생성과 초기화, 빈들의 의존성 주입을 담당한다. 크게 BeanFactory 인터페이스와 ApplicationContext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. Applicat...

네트워크 - HTTPS

1. 암호화 방식 TLS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칭키/비대칭키 암호화 방식의 차이를 인식할 필요가 있다. 어떠한 평문을 다른 사람에게 노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전송하고 싶다면 평문을 암호화할 수 있다. 암호문은 키를 가진 제한된 사람만 이를 해독하여 평문으로 바꿀 수 있다. 이 키의 종류에 따라 대칭키 암호화, 비대칭키(공개키) 암호화로 분류할 수 있다...

네트워크 - 개요

1. 컴퓨터 네트워크란? 컴퓨터 네트워크는 통신 및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함께 연결된 컴퓨터,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및 기타 네트워킹 장비와 같은 상호 연결된 장치의 모음이다.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네트워크의 종단 시스템을 호스트(host) 라고 하며 호스트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 종단 시스템을 연결하는 부분을 네트워크 코어라고...

DB - 장애 회복

데이터베이스 스터디 5주차에서 학습하고 정리한 내용입니다. 1. DB 회복 여러 하드웨어, 소프트웨어적 원인으로 하드웨어 장애가 발생했을 때 DB를 이전 상태로 회복하는 것을 DB 장애 복구라고 한다. 장애가 발생하였을 때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일부분만 업데이트되지 않고 장애가 발생하기 전의 일관된 상태로 롤백할 수 있어야 한다. 회복 연산...

© . Some rights reserved.

Using the Chirpy theme for Jekyll.